1일차-7.진평왕릉,신문왕릉,선덕여왕릉
2010. 8. 22. 13:18ㆍ가족여행
순서상 신문왕릉이 선덕여왕의 뒷편이나 선덕여왕릉을 찾지 못해 먼저 보이는 신문왕릉을
먼저 들름.
*진평왕릉
백성들에 대한 애정이 각별했다는 진편왕은 농가와 논들이 가까이 있어 옛날엔 그가 사랑한
백성들이 쉽게 찾아볼수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우리가 갔을 때에는 인적이 별로 없는
한적한 곳이었다.
진평왕릉에서 보이는 민가
진평왕릉 앞에서 마주보이는 낭산.
얕으막한 저 낭산에 진평왕의 딸인 선덕여왕 릉이 있다.
*신문왕릉
낭산 동쪽에 위치
신문왕은 문무왕의 아들로,고구려,백제의 귀족들을 따뜻하게 맞아주었고,일본과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군사,문화교류를 활발히 하여 신라의 황금시대를 이룬 왕이다.
무덤 아래부분 탄탄하게 쌓은 아랫돌과 사다리꼴 모양의 호석들.
이렇게 돌무지가 무너지지 않게 누름돌을 세우는 기술은 고구려에서 전해진 기술이라고 한다.
*선덕여왕릉
선덕여왕릉 가는 길에 사천왕사지가 있는데,
사천왕사는 문무왕때 세운 호국사찰로 와당과 벽돌 등이 발견되었다고 하나 한창 공사중이라
들어가보지 못함.
주차장 나와 철로에 붙은 선덕여왕릉 안내 표지판
선덕여왕릉 가는 길
소나무숲 울창한 선덕여왕릉 가는 길
선덕여왕릉
능 앞의 오래된 소나무
내려오면서 돌아본 소나무숲속에 안착한 선덕여왕릉
선덕여왕릉 앞에서 멀리 바라본 진평왕릉
재위순서는 진평왕-선덕여왕-문무왕-신문왕
선덕여왕릉을 나온 시각 오후 3시 40분경.
금척리고분군과 법흥왕릉,진흥왕릉을 예정했었으나,이쯤에서 마무리하기로 하고
지친 몸을 쉬러 숙소로 고고씽.ㅣ
체크인한 시각 약 4시 반경.
먼저 들름.
*진평왕릉
백성들에 대한 애정이 각별했다는 진편왕은 농가와 논들이 가까이 있어 옛날엔 그가 사랑한
백성들이 쉽게 찾아볼수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지만,우리가 갔을 때에는 인적이 별로 없는
한적한 곳이었다.
진평왕릉에서 보이는 민가
진평왕릉 앞에서 마주보이는 낭산.
얕으막한 저 낭산에 진평왕의 딸인 선덕여왕 릉이 있다.
*신문왕릉
낭산 동쪽에 위치
신문왕은 문무왕의 아들로,고구려,백제의 귀족들을 따뜻하게 맞아주었고,일본과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어
군사,문화교류를 활발히 하여 신라의 황금시대를 이룬 왕이다.
무덤 아래부분 탄탄하게 쌓은 아랫돌과 사다리꼴 모양의 호석들.
이렇게 돌무지가 무너지지 않게 누름돌을 세우는 기술은 고구려에서 전해진 기술이라고 한다.
*선덕여왕릉
선덕여왕릉 가는 길에 사천왕사지가 있는데,
사천왕사는 문무왕때 세운 호국사찰로 와당과 벽돌 등이 발견되었다고 하나 한창 공사중이라
들어가보지 못함.
주차장 나와 철로에 붙은 선덕여왕릉 안내 표지판
선덕여왕릉
능 앞의 오래된 소나무
내려오면서 돌아본 소나무숲속에 안착한 선덕여왕릉
선덕여왕릉 앞에서 멀리 바라본 진평왕릉
재위순서는 진평왕-선덕여왕-문무왕-신문왕
선덕여왕릉을 나온 시각 오후 3시 40분경.
금척리고분군과 법흥왕릉,진흥왕릉을 예정했었으나,이쯤에서 마무리하기로 하고
지친 몸을 쉬러 숙소로 고고씽.ㅣ
체크인한 시각 약 4시 반경.
'가족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일차-8.임해전터(안압지)야경 (1) | 2010.08.22 |
---|---|
1일차 8/16일 점심식사와 저녁식사,황남빵 (0) | 2010.08.22 |
1일차-6.포석정지와 나정 (1) | 2010.08.22 |
1일차-5.태종 무열왕릉과 서악동 고분군,김인문과 김양묘. (0) | 2010.08.22 |
1일차-4.김유신장군묘 (0) | 2010.08.22 |